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의료기술재평가보고서

의료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의료기술의 임상적 안전성, 유효성, 경제성을 최신 근거에 기반하여 평가한 보고서입니다.

연구보고서의 제목, 발행일, 연구방법, 연구책임자의 정보 및 원문다운로드를 제공합니다.
보고서 이미지 없음 제목 완료

설골 갑상연골 고정술

발행일 2021.03.31
연구책임자 김희원
조회수 431
원문다운로드 설골갑상연골고정술]_본문.pdf [다운로드수 : 650] 바로보기
해당 게시물의 목차, 국문요약, 영문요약을 제공합니다.

평가 배경

2020년 제1차 의료기술재평가위원회(2020.1.10.)에서 설골 갑상연골 고정술은 대상 환자(폐쇄성 수면무호흡증환자) 수 증가에 따라 해당기술의 수요가 많아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서 효율적인 보건의료자원 사용을 위한 근거제공 지원을 위해 해당 기술에 대한 최신 근거를 통한 평가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의료재평가 안건으로 선정되었다.

이에 본 평가에서는 설골 갑상연골 고정술의 임상적 안전성 및 유효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 평가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명시하고 있는 설골 갑상연골 고정술고시항목(-374)에 준하여 행위를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평가범위를 확정하였다.

 

평가 방법

본 평가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설골 갑상연골 고정술이 안전하고 유효한 수술인지 여부를 업데이트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평가하였다. 모든 평가방법은 이비인후과 2, 호흡기내과 1, 구강악안면외과 1, 신경과 1, 근거기반의학 1인의 전문가 총 6인으로 구성된 설골 갑상연골 고정술 재평가 소위원회(이하 소위원회라 한다)’의 심의를 거쳐 확정하였다.

업데이트 체계적 문헌고찰은 핵심질문을 토대로 국외 3, 국내 5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였다. 문헌 선정과정은 문헌선택 및 배제기준에 따라 두 명의 검토자가 독립적으로 수행하였고, 의견의 불일치가 있는 경우에는 상호 논의 및 소위원회 위원의 확인을 통해 최종 선택문헌을 결정하였다.

문헌의 비뚤림위험 평가는 RoBANS ver 2.0을 사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최종 선택된 문헌을 대상으로 두 명의 검토자가 독립적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양적 분석이 불가능하여 질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본 평가에서 수행한 업데이트 체계적 문헌고찰 결과는 평가결과를 토대로 의료기술재평가위원회에서 권고등급을 결정하였다.


평가 결과

설골 갑상연골 고정술의 안전성과 유효성은 총 17편의 문헌을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연구설계 유형은 전후연구 16, 증례연구 1편이였으며, 복합수술 수행연구 16, 단독수술 수행연구 1편이었다.

동 기술의 안전성은 수술관련 부작용 및 합병증으로 평가하였으며, 수술관련 부작용 및 합병증을 보고한 15편의 문헌을 근거로 평가하였다.


1. 안전성 결과

안전성 관련 결과를 보고한 15편의 문헌에서 보고된 수술관련 부작용 및 합병증을 그 심각도 순으로 살펴보면, 수술 후 출혈에 의한 기도손상으로 기관절개술을 시행한 1(Herder et al. 2005), 경미한 혈종 발생을 보고한 문헌 2(Tschopp 2007; Bowden et al. 2005), 수술 1주 후 neck seroma 발생을 보고한 문헌은 3(Gillespie et al. 2011; Benazzo et al. 2008; Riley et al. 1994) 이었다. 수술 후 3주 내에 자가조절 또는 사라진 흡인발생은 9.3%~10% (Neruntarat et al. 2003; Karatayli et al. 2012), 연하곤란 발생을 보고한 문헌은 3(Benazzo et al. 2008; Bowden et al. 2005; Neruntarat et al. 2003)이었다.

그밖에 상처감염(2/15) 발생을 보고한 문헌은 1(Stuck et al. 2005), 수술 후 1~5일 후 모든 환자(20)에서 경미한 통증이 있었다고 보고한 문헌은 1(Karatayli et al. 2012), 수술 후 5~7일간 경증-중등도의 통증(VAS7) 발생(30/32)을 보고한 문헌은 1(Neruntarat et al. 2003)이었다.

안전성 관련 결과를 보고한 15편의 문헌 중 6편은 수술 후 초기 또는 후기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거나 보고되지 않았다고 보고하였고, Ong et al. (2017) 1편만 합병증 발생률을 0%로 보고하였다.

설골 갑상연골 고정술 재평가 소위원회에서는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에서 설골 갑상연골 고정술 후 출혈로 인해 기도손상으로 기관절개술을 시행한 사례가 1건 있지만, 이는 설골 갑상연골 고정술 단독 수술이 아닌 복합 수술을 수행하며 발생한 사례로 부작용 발생 원인 동 기술로 인한 것으로 판단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의견이었다. 아울러 이 외에 동 기술로 인한 심각한 부작용이나 합병증은 보고된 사례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동 기술은 안전한 수술이라는 의견이었다.


2. 유효성 결과

동 기술의 유효성은 무호흡-저호흡 지수(AHI), 주간졸음 척도(ESS)를 포함한 수면장애지표 개선정도와 최저 산소포화도(Lowest O2 saturation level), 수술치료 성공률, 삶의 질, 환자 만족도로 평가하였으며 선택문헌 15편에서 유효성 관련결과를 보고하였다.

설골 갑상연골 고정술 수술 전후의 무호흡-저호흡 지수 결과를 보고한 13편의 문헌 모두에서 수술 후에 수술 전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하였음을 보고하였고, 이중 10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술 전후의 주간졸음 척도 결과를 보고한 14편의 문헌 모두에서 수술 전에 비해 수술 후 현저하게 감소하였음을 보고하였고, 이중 12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저 산소포화도를 보고한 문헌은 총 11편이었고, 최저 산소포화도 결과를 제시하지하지 않은 문헌은 6(Canzi et al. 2013; Karatali et al. 2012; Benazzo et al. 2008; Tschopp 2007; Herder et al. 2005; Stuck et al. 2005) 이었다. 수술 전후의 산소포화도 결과를 보고한 11편의 문헌 모두에서 수술 전에 비해 수술 후 현저하게 증가하였음을 보고하였고, 이중 8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골 갑상연골 고정술의 수술치료 성공률을 보고한 문헌은 총 11(2009년 신의료기술평가 포함문헌 6)이었다. 설골 갑상연골 고정술 수술치료 성공률은 17.2%~90%로 나타났고, 반응 있음 또는 개선정도는 7.1%~61.5%로 나타났다. 반면 무반응으로 보고한 결과는 14.6%~50% 이었다.

설골 갑상연골 고정술 재평가 소위원회 에서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수면장애 개선지표인 무호흡-저호흡 지수(AHI), 주간졸음 척도(ESS) 및 최저산소 포화도(Lowest O2 saturation level)에서 설골 갑상연골 고정술 이후 유의한 양상을 보여 유효성이 있는 수술이라는 의견이었다.


결론 및 제언

설골 갑상연골 고정술 재평가 소위원회는 현재 검토된 문헌적 근거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2009년 신의료기술평가 이후 현재까지 수행된 몇몇 연구들이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이 비교군이 없는 전후연구로서 근거수준이 낮으며, 설골 갑상연골 고정술 단독으로 수행된 연구보다는 복합수술로 수행된 연구들이 다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설골 갑상연골 고정술로 인한 심각한 부작용이나 합병증은 보고된 사례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안전성은 수용 가능할 만한 수준이며, 수면장애 개선지표 및 최저 산소포화도(Lowest O2 saturation level) 결과에서 수술 후 유의한 양상을 보여 유효성이 있는 수술로 판단하였다.

설골 갑상연골 고정술 소위원회에서는 이러한 문헌적 근거를 토대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환자에게 있어 설골 갑상연골 고정술은 수면장애 증상 개선에 안전하고 유효한 의료기술로 평가하였다.

의료기술재평가위원회는 설골 갑상연골 고정술로 인한 심각한 부작용이라 합병증은 보고된 사례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동 기술은 안전한 수술이며, 수면장애 개선 지표 및 최저 산소포화도 결과에서 수술 후 유의한 근거가 있어 유효성이 있는 기술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의료기술재평가위원회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게 있어 설골 갑상연골 고정술은 수면장애 증상 개선에 안전하고 유효한 의료기술로 판단하여 권고함(권고등급 -b) 으로 심의하였다(2020.11.13.).

참고자료

해당 게시물의 이해를 돕는 참고자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보도자료
근거와 가치
논문
관련자료

저작권 허용범위

해당 게시물의 저작권 허용범위, 보도인용 문의 연락처를 제공합니다.

CCL 저작권 허용범위

·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4.0 국제

공공누리 저작권 허용범위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연구보고서 보도인용 안내

연구보고서의 보도나 인용시 아래 연락처로 확인하세요. - 연구보고서 보도 관련 문의: 02-2174-2748(대외협력홍보팀) - 연구보고서 인용 관련 문의: 02-2174-2787(경영혁신추진단)
이전글 비밸브재건술
다음글 출혈시간

페이지
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