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의료기술재평가보고서

의료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의료기술의 임상적 안전성, 유효성, 경제성을 최신 근거에 기반하여 평가한 보고서입니다.

연구보고서의 제목, 발행일, 연구방법, 연구책임자의 정보 및 원문다운로드를 제공합니다.
보고서 이미지 없음 제목 완료

Flow-diverter를 이용한 뇌동맥류 색전술

발행일 2022.02.28
연구책임자 김희원
조회수 507
원문다운로드 [최종보고서]Flow-diverter를 이용한 뇌동맥류 색전술.pdf [다운로드수 : 2581] 바로보기
해당 게시물의 목차, 국문요약, 영문요약을 제공합니다.

평가배경 

Flow-diverter를 이용한 뇌동맥류 색전술(Intracranial Aneurysms Embolization with Flow-diverter)은 비파열성 뇌동맥류 환자를 대상으로 스텐트 삽입을 통해 동맥류를 폐색시키는 기술이다. 동 기술은 2012년 신의료기술평가위원회에서 구경이 큰 뇌동맥류(직경 10mm 이상), 박리형 혹은 방추형의 뇌동맥류, 수포성 뇌동맥류, 이전 치료 후 재발한 뇌동맥류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써 환자에게 임상적 호전을 기대할 수 있는 시술로 안전성 및 유효성에 대한 근거가 있는 의료기술(제2012-49호)로 평가되었다. 이후 보건복지부 고시 제2014-191호(2014.10.30.)에 따라 2014년 행위급여로 등재되어 사용되고 있다. 

동 기술은 수요조사를 통해 대한영상의학회에서 제안한 주제로, 2021년 제3차 의료기술재평가위원회(2021.03.12.)에서는 ‘Flow-diverter를 이용한 뇌동맥류 색전술의 임상적 안전성 및 유효성’을 재평가대상으로 최종 심의하여 본 평가를 수행하게 되었다.


평가방법

Flow-diverter (FDT)를 이용한 뇌동맥류 색전술에 대한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를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모든 평가방법은 평가목적을 고려하여 ‘Flow-diverter를 이용한 뇌동맥류 색전술 재평가 소위원회(이하 ‘소위원회’라 한다)‘의 심의를 거쳐 확정하였다.

평가의 핵심질문은 ⅰ) 뇌동맥류 직경 10mm 이상의 환자에서 Flow-diverter를 이용한 뇌동맥류 색전술은 임상적으로 안전하고 유효한가? ⅱ) 뇌동맥류 환자에서 Flow-diverter과 코일의 병용사용 색전술은 Flow-diverter 단독 색전술 대비 임상적으로 안전하고 유효한가? 이며, 안전성은 사망률, 이환율, 시술관련 합병증, 신경학적 임상증상 검사(modified Rankin Scale, mRS) 지표로, 유효성은 폐색률(완전/거의완전, 불완전/부분), 시술성공률, 재치료율로 평가하였다.

체계적 문헌고찰은 핵심질문 2개를 토대로 문헌검색은 국외 3개, 국내 5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였고, 문헌선정 및 배제기준에 따라 두 명의 검토자가 독립적으로 선별하고 선택하였다. 문헌의 비뚤림위험 평가는 RoBANS를 이용하여 두 명의 검토자가 독립적으로 수행하여 의견합의를 이루었다. 자료추출은 소위원회를 통해 확인된 자료추출 서식을 활용하였으며 추출된 자료분석은 질적 검토(qualitative analysis)방법을 적용하였다. 체계적 문헌고찰 결과의 근거수준은 Grading of Recommendations Assessment, Development and Evaluation (GRADE)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의료기술재평가위원회에서 소위원회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최종심의 후 권고등급을 제시하였다.


평가결과

Flow-diverter (FDT)를 이용한 뇌동맥류 색전술의 안전성과 유효성은 최종 선택문헌 15편(국외 & 코호트 연구)에 근거하여 평가하였다. 적용된 시술별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FDT 색전술 대비 Coil 색전술 비교연구 7편, FDT+Coil 색전술 대비 FDT 색전술 비교연구 8편이었다. 

뇌동맥률 직경별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대상자 전체 또는 중재군의 뇌동맥류 평균 직경 10mm 이상을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 12편, 10mm 미만을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 3편이었고, 3편은 모두 FDT 색전술 대비 Coil 색전술을 비교한 연구였다.

15편의 비뚤림위험 수준은 대상군 비교가능성 영역에 있어 비뚤림위험 수준이 높고 대상군 선정 영역에서는 낮다고 판단되지만, 연구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해 볼 때 동맥류 직경의 크기 및 위치를 정확히 매치하여 비교하는 연구설계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선택에 포함된 문헌의 중재 특성상 평가자의 눈가림이 불가능한 코호트 연구임을 감안하고, 결과평가 및 선택적 결과보고 영역에 대한 비뚤림위험을 낮음으로 판단하였다.


안전성

Flow-diverter를 이용한 뇌동맥류 색전술의 안전성은 평가에 선택된 15편의 문헌에 근거하여 사망률, 이환율, 시술관련 합병증[중증(동맥류 파열, 천공, 뇌출혈 등), 중등도(혈전색전증, 허혈성 뇌졸중 등), 경증(신경학적 합병증, 색전 기구(Pipeline embolization devide, PED) 배치관련 문제 등)], 신경학적 임상증상 검사(mRS)로 평가하였다. 시술관련 합병증의 경우 합병증의 중증도에 따라 구분이 가능한 경우 중증(major), 중등도(moderate), 경증(minor) 세 그룹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가. 뇌동맥류 평균직경 10mm 이상 대상 FDT vs Coil 색전술

4편의 문헌 중 사망률 또는 이환율 결과는 3편에서 보고하였으며 사망률은 FDT군은 0~4.1%, Coil군은 0~7.4%였고, 군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환율은 1편에서 보고하였고, FDT군은 2.5%, Coil군은 2.1%로 군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시술관련 합병증은 4편 모두에서 보고하였다. 시술 전후 또는 시술 후 초기(<30일) 시점에 발생한 중증(major) 합병증 가운데 시술 중 동맥류 파열은 1편에서 FDT군 0%, Coil군 1.6%로 보고하였으며 군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천공을 보고한 2편에서 FDT군 0%, Coil군 1.6~4.5%로 군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출혈은 2편에서 총 3건이 보고되었다. 2건은 중증(major) 합병증인 뇌동맥류 반대측 반구의 출혈과 뇌동맥류 동측의 말단부 출혈이었고, 1건은 중등도(moderate) 합병증인 위장관 출혈이었다.

신경학적 임상증상 검사(mRS)는 2편에서 보고하였고, 독립적인 생활이 가능한 mRS 0-2점에 대한 결과는 FDT군 89.3~92%, Coil군 82.4~94%로 군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나. FDT+Coil 병용 vs FDT 단독 색전술

8편의 문헌 중 사망률을 보고한 문헌은 7편, 이환율을 보고한 문헌은 2편이었다. 사망률은 FDT+Coil 병용군 0~14.3%, FDT 단독군 0~11.5%로 통계적 유의성은 2편에서 제시하였고, 군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시술관련 합병증은 8편 모두에서 보고하였다. 시술 전후 또는 시술 후 초기(<30일) 시점에 발생한 중증(major) 합병증 가운데 지연된 동맥류 파열(delayed aneurysm rupture)은 1편에서 보고되었고, FDT+Coil 병용군 2.8~3.3%, FDT 단독군 1.0%로 군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동일 문헌에서 시술 후 추적관찰 기간에 발생한 지연된 동맥류 파열은 FDT+Coil 병용군 0~0.2%, FDT 단독군 0%였고 군간 통계적 유의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자연파열은 1편에서 보고되었고 FDT+Coil 병용군 0%, FDT 단독군 0.7%로 군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출혈은 2편에서 보고되었다. 1편에서 보고한 뇌출혈 발생은 FDT+Coil 병용군 2.6~2.8%, FDT 단독군 1.2%로 군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신경학적 임상증상 검사(mRS) 결과를 보고한 문헌은 6편이었고, 독립적인 생활이 가능한 mRS 0-2점에 대한 결과는 5편에서 보고하였다. 5편의 시술 후 추적관찰 기간은 3개월부터 23.2개월까지 다양하였고, mRS 결과 0-2점은 FDT+Coil 병용군 88.8~100%, FDT 단독군 83.3~96.3%로 군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유효성  

Flow-diverter를 이용한 뇌동맥류 색전술의 유효성은 평가에 선택된 15편의 문헌에 근거하여 소위원회 논의를 바탕으로 폐색률(완전/거의완전(near-complete)/불완전 or 부분), 시술성공률, 재치료율로 평가하였다. 유효성에 있어 완전과 거의완전(near-complete) 폐색률을 주요지표로 보았다.    


가. 뇌동맥류 평균직경 10mm이상 대상 FDT vs Coil 색전술

4편 모두에서 폐색률 결과를 보고하였고 추적관찰 기간은 시술 후 6개월~12개월이었다. 완전 폐색률은 FDT군 64.6~100%, Coil군 21.4~58%였고, 1편의 연구에서 FDT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제시하였다(P=0.0014). 거의완전 폐색률의 경우 1편의 연구에서 FDT군에서 Coil군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보고하였다(P=0.02). 

시술성공률을 제시한 문헌은 1편이었고, FDT군의 성공률을 100%로 보고하였다. 재치료율은 3편에서 보고하였고 FDT군 0~5.08%, Coil군 17.3~37%였다. 1편의 연구에서 Coil군 대비 FDT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고 보고하였다(P<0.001). 


나. FDT+Coil 병용 vs FDT 단독 색전술

8편의 문헌 중 6편에서 폐색률 결과를 보고하였다. 6편에서 보고한 완전 폐색률은 FDT+Coil 병용군 72~100%, FDT 단독군 61.5~77.1%였으며, 2편에서 FDT 단독군 대비 FDT+Coil 병용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고 보고하였다(P<0.0001;P=0.03). 거의완전 폐색률 결과를 보고한 2편의 중 1편은 군간 구분 없이 전체 20.9%로 제시하였고, 또 다른 1편은 FDT+Coil 병용군 결과만 15.5%로 제시하였다. 

시술성공률을 제시한 문헌은 2편으로 1편은 FDT+Coil 병용군 63.6%, FDT 단독군 78%로 제시하였고, 군간 통계적 유의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또 다른 1편은 PED배치는 모두 성공적이었다고 보고하였다.

3편에서 보고한 재치료율은 FDT+Coil 병용군 0~3.4%, FDT 단독군 8.3~16.0%였으며 군간 통계적 유의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결론 및 제언

따라서, Flow-diverter를 이용한 뇌동맥류 색전술 재평가 소위원회는 본 평가 결과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ⅰ) 뇌동맥류 평균직경 10mm 이상 대상 FDT 색전술 대비 Coil 색전술을 비교했을 때 안전성 결과에 있어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유효성은 완전 폐색률, 거의완전 폐색률, 재치료율에서 Coil군 대비 FDT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보고한 연구는 각 1편씩 확인되었다(P=0.0014;P=0.02;P<0.001). 그 밖에 시술 성공률은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뇌동맥류 평균직경이 10mm 이상 대상 FDT 색전술은 Coil 색전술 대비 시술과 관련하여 환자에게 특정하게 가해지는 위해가 없어 안전성에 특이할 만한 문제가 없으며 완전 폐색률 및 재치료율은 거의 모든 연구에서 Coil군 대비 FDT군에서 유의한 경향을 나타내어 FDT 색전술은 유효한 기술로 판단하였다. 


ⅱ) 평균직경이 큰(large: 15-20mm) 또는 거대(giant: 25mm 이상)한 뇌동맥류의 경우, FDT+Coil 병용 색전술은 FDT 단독 색전술 대비 안전성 결과에 있어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유효성은 완전 폐색률과 재치료율에 있어 FDT 단독군 대비 FDT+Coil 병용군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보고한 연구 2편이 확인되었다. 그밖에 시술 성공률, 재치료율은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뇌동맥류 직경 15mm 이상으로 큰 경우, FDT+Coil 병용 색전술은 FDT 단독 색전술 대비 시술과 관련하여 환자에게 특정하게 가해지는 위해가 없어 안전성에 특이할 만한 문제가 없으며 완전 폐색률 및 재치료율은 거의 모든 연구에서 FDT 단독군 대비 FDT+Coil 병용군 에서 유의한 경향을 나타내어 FDT+Coil 병용 색전술은 유효한 기술로 판단하였다. 

결론적으로 Flow-diverter를 이용한 뇌동맥류 색전술은 평가에 선택된 15편의 코호트 연구결과 만으로 Coil 색전술 대비 FDT 시술의 우월성 또는 FDT 단독시술 대비 FDT+Coil 병용시술의 우월성을 입증하기에 그 근거는 아직 충분하지 않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었다. 하지만 직경 10mm 이상에서 Coil 색전술 대비 FDT 색전술의 안전성 결과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유효성 결과는 FDT 색전술에서 유의한 경향을 나타낸 점, 특히 직경이 크거나 거대한(15mm 이상) 뇌동맥류의 경우 질병의 심각도와 그에 따른 잠재적 위험성을 고려했을 때, FDT+Coil 병용 색전술은 환자의 임상적 호전과 건강회복을 기대할 수 있는 잠재적 이득이 큰 효과적인 치료시술로 안전성 및 유효성에 대한 근거가 있는 기술이라는 의견이었다. 

2021년 제10차 의료기술재평가위원회(2021.10.15.)에서는 소위원회 검토결과에 근거하여 의료기술재평가 사업 관리지침 제4조 제10항에 의거 Flow-diverter를 이용한 뇌동맥류 색전술에 대해 다음과 같이 심의하였다. 

Flow-diverter를 이용한 뇌동맥류 색전술은 안전성은 수용가능한 수준이며, 유효성의 경우 i) 뇌동맥류 평균직경 10mm 이상에서는 Coil 색전술과 비교 시 완전 페색률, 재치료율 기준으로 Flow-diverter 색전술에서 더 좋은 경향성이 확인되었으며, ii) 직경이 큰 또는 거대한(15mm 이상) 뇌동맥류의 경우 질병의 중증도와 그에 따른 잠재적 위험성을 고려했을 때, Flow-diverter와 Coil 병용사용 색전술은 Flow-diverter 단독 색전술 대비 환자의 임상적 호전을 통해 잠재적 이득을 기대할 수 있는 기술로 판단하였다.

이에 따라 의료기술재평가위원회는 i) 직경 10mm 이상의 뇌동맥류 폐색을 위한 Flow-diverter를 이용한 뇌동맥류 색전술에 대해 ‘조건부 권고함’으로, ii) 직경이 큰 또는 거대한(15mm 이상) 뇌동맥류 폐색을 위한 Flow-diverter와 Coil 병용사용 색전술에 대해 ‘조건부 권고함’으로 심의하였다.



주요어

뇌동맥류, Flow diverter 이용 색전술, 코일 색전술, 안전성, 유효성

Intracranial aneurysm, Embolization with flow diverting, Coil embolization, Safety, Effectiveness

참고자료

해당 게시물의 이해를 돕는 참고자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보도자료
근거와 가치
논문
관련자료

저작권 허용범위

해당 게시물의 저작권 허용범위, 보도인용 문의 연락처를 제공합니다.

CCL 저작권 허용범위

·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4.0 국제

공공누리 저작권 허용범위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연구보고서 보도인용 안내

연구보고서의 보도나 인용시 아래 연락처로 확인하세요. - 연구보고서 보도 관련 문의: 02-2174-2748(대외협력홍보팀) - 연구보고서 인용 관련 문의: 02-2174-2787(경영혁신추진단)
이전글 외모 개선 목적의 악안면(턱) 교정술
다음글 자기유래배양피부이식술

페이지
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