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한정된 의료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보건의료정책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과학적 근거를 분석한 보고서입니다.

연구보고서의 제목, 발행일, 연구방법, 연구책임자의 정보 및 원문다운로드를 제공합니다.
보고서 이미지 없음 제목 완료

소화성 궤양 및 위식도 역류질환 환자에서 양성자 펌프 억제제 사용과 골다공증성 골절 위험의 연관성 연구

발행일 2018.05.31
면수 김도현, 이진이
연구책임자 김도훈, 이진이
조회수 3924
원문다운로드

▢  연구 배경

전세계적으로 소화성 궤양 질환(peptic ulcer disease, PUD) 및 위식도 역류질환(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은 높은 이환율을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소화성 질환 치료제들의 사용 또한 증가하고 있다. 소화성 질환에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약물로는 H2 수용체 길항제(H2 receptor antagonists, 이하 H2RA), 양성자 펌프 억제제(proton pump inhibitors, PPI) 등이 있다. 이중 양성자 펌프 억제제는 작용기전상 H2RA에 비해 효과적으로 산분비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국내에서의 사용 빈도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양성자 펌프 억제제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골절 증가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이 보고되고 있으나 국내에서 양성자 펌프 억제제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골절 발생의 위험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다. 따라서 실제 임상현장에서 대규모 자료를 사용하여 양성자 펌프 억제제의 사용과 골절 발생의 연관성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  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는 양성자 펌프 억제제의 사용과 골다공증성 골절 발생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양성자 펌프 억제제 처방력, 누적 사용일수, 사용 용량, 골절 발생 최근에 사용했는지의 유무, 골절 발생 최근에 정기적으로 처방 받았는지의 여부 등에 따른 골절 발생 위험양상을 살펴본다. 


▢  연구 방법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청구자료, 자격자료 및 국가일반건강검진자료를 이용하여 코호트 내 환자-대조군 연구(nested case-control study)를 수행하였다. 

코호트 내 연구대상자는 2006년 1월 1일부터 2015년 12월 31일까지 소화성 궤양 및 위식도 역류질환의 상병코드(ICD-10 code: K21, K25, K26, K27, K28)에 의한 의료이용이 있고, 양성자 펌프 억제제 또는 H2RA 처방 이력이 있는 사람들이다. 

코호트 입적일(cohort entry date)은 최초로 약물(PPI 또는 H2RA)을 처방받은 날이다. 임상적 대상자 제외 기준은 코호트 입적일을 기준으로 50세 미만인 환자, 코호트 입적 이전 1년 이내에 양성자 펌프 억제제 또는 H2RA를 처방받은 이력이 있거나 암으로 인한 의료 이용이 있는 환자,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또는 골다공증 및 골절을 진단받았거나 치료받은 경험이 있는 환자로 정의하였다. 또한, 국가일반건강검진 수검 기록이 없는 경우 역시 자료의 제한으로 인해 제외하였다. 

환자군은 코호트 입적일로부터 2015년까지의 기간 동안 최초로 골다공증성 골절이 발생(발생일: index date)한 자이다. 대조군은 결과지표가 발생하지 않은 환자들 중에서 성별, 5세 단위 연령군, bisphosphonates 사용 여부, 코호트 입적일, 동일한 추적관찰 기간 등에 의한 1:5 짝짓기(matching)를 통해 선별하였다. 

 추적관찰 기간 동안 최소 1회 이상의 양성자 펌프 억제제 처방 여부, 양성자 펌프 억제제의 누적 사용일수, 저용량/표준용량 이상 PPI 제제 사용여부, 골절 발생일을 기준으로 최근 1년간 양성자 펌프 억제제 사용여부, 최근 1년간 28일 이상 양성자 펌프 억제제를 처방받은 분기의 횟수별로 골절 발생의 양상을 관찰하였다. 

조건부 로지스틱 회귀분석(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을 통하여 결과지표 오즈비(odds ratio, OR)를 추정하였고, 95%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CI) 및 유의확률(p-value)을 함께 제시하였다. 공변량으로는 성, 연령, 거주 지역, 소득분위 등의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신장, 체중, 체질량 지수(BMI), 음주, 흡연, 운동력 등의 검진/문진 변수, 골절 발생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병용약물 및 동반질환을 포함하였다.

양성자 펌프 억제제 사용에 따른 골다공증성 골절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를 위해 짝짓기 변수로 사용된 성별, 연령, bisphosphonates 사용 여부에 따른 하위그룹 분석을 수행하였다.


▢  연구 결과

지난 10년간 소화성 궤양 및 위식도 역류질환으로 약물치료를 경험한 환자들은35,520,188명이었다. 제외 기준 적용 후, 연구 대상자 2,388,137명 중 78,465명(3.3%)에서 분석기간 중 골다공증성 골절이 발생했다. 짝짓기 결과, 골절군(case)은 59,240명, 비골절군(control)은 296,200명으로 정의되었고, 대상자의 78.0%가 여성이었다. 

 추적관찰 기간 동안 양성자 펌프 억제제를 1회 이상 복용한 환자들의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골절 발생의 위험이 1.11배(95% CI: 1.08, 1.13)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양성자 펌프 억제제의 누적 사용일수가 높아질수록 골절 발생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 for trend <0.0001). 특히, 양성자 펌프 억제제를 1년 이상 사용하였을 경우는 전혀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골절의 오즈비가 1.42(95% CI: 1.32, 1.52)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저용량 양성자 펌프 억제제 사용에 따른 골절 발생의 오즈비는 1.17(95% CI: 1.14, 1.21), 고용량 양성자 펌프 억제제 사용에 따른 골절 발생의 오즈비는 1.06(95% CI: 1.04, 1.21)로 큰 차이는 없었다. 

골절 발생 최근 1년 이내 양성자 펌프 억제제를 사용한 경우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골절 발생의 위험이 1.30(95% CI: 1.27, 1.33)배로 높게 나타났다. 골절 발생 최근 1년 이내의 기간을 4분기로 나누었을 때, 모든 분기에서 4주 이상 양성자 펌프 억제제를 처방받은 경우 골절 위험의 오즈비는 1.37(95% CI: 1.26, 1.50)배였다. 

남성과 여성 모두 양성자 펌프 억제제 사용에 따른 골다공증성 골절의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가 높을수록 양성자 펌프 억제제 사용에 따른 골절 위험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Bisphosphonate를 복용하고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모두에서 양성자 펌프 억제제 사용에 따른 골절위험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  결론 및 정책적 제언

우리나라 국민의 상당수가 소화성 궤양 및 위식도 역류질환으로 약물치료를 경험하고 있었으며 노령층에서 양성자 펌프 억제제 복용은 골절의 위험을 증가시켰다. 양성자 펌프 억제제를 지속적으로 복용하는 경우 골절의 위험은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양성자 펌프 억제제 처방 시 환자의 투약 이력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특히 장기처방이 요구되는 고령의 환자들에게는 양성자 펌프 억제제의 위험성을 고지하고 불필요한 투약을 자제하며 장기투약자에 대한 골절 예방, 골다공증 관리 등의 노력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해당 게시물의 이해를 돕는 참고자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보도자료
근거와 가치
논문
관련자료

같은 주제 자료

이 내용과 같은 주제를 다루고 있는 자료입니다.

같은 주제 자료 입니다.
번호 보고서명 연구책임자 발행일 첨부파일
등록된 게시물이 없습니다.

저작권 허용범위

해당 게시물의 저작권 허용범위, 보도인용 문의 연락처를 제공합니다.

CCL 저작권 허용범위

·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4.0 국제

공공누리 저작권 허용범위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연구보고서 보도인용 안내

연구보고서의 보도나 인용시 아래 연락처로 확인하세요. - 연구보고서 보도 관련 문의: 02-2174-2748 (대외협력홍보팀) - 연구보고서 인용 관련 문의: 02-2174-2787 (경영혁신추진단)
이전글 주요안과질환에서 항혈관성장인자의 유리체내주입술에 대한 경제성 평가
다음글 다혈관 관상동맥질환에서 스텐트시술과 관상동맥 우회수술의 비교효과 연구

페이지
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