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골다공증이 아닌, 골감소증 환자에서도 골절 고위험군 선별하여 치료 필요의 작성자, 작성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 보도자료 ] 골다공증이 아닌, 골감소증 환자에서도 골절 고위험군 선별하여 치료 필요
작성자 대외협력홍보팀
작성일 2022.08.25 조회수 1653
언론사
링크
파일
골다공증이 아닌, 골감소증 환자에서도 
골절 고위험군 선별하여 치료 필요
한국보건의료연구원, 골감소증 환자에서 골절 예방 치료의 필요성 연구
골다공증 약제 치료 시, 골절 위험 감소 및 골밀도 증가 효과
골절 위험 인자로 낙상, 당뇨병, 뇌혈관질환, 천식, 과거골절력 확인

 한국보건의료연구원(원장 한광협)이 골감소증 환자에서 약제 효과를 분석하고 골절 위험 예측모형을 개발하여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 전세계적으로 노령화가 급격히 진행됨에 따라 골감소증*과 골다공증** 유병률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골감소증의 경우 현재 노인인구의 절반 가량으로 추정되며, 고관절 골절의 빈도가 점차 증가하면서 이로 인한 사회·경제적인 부담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 골감소증: 환자의 골밀도를 젊은 성인의 평균값과 비교한 것을 T-값이라 하며, -1.0 이상이 정상이고 -2.5 에서 -1 사이일 때 골감소증으로 진단
   ** 골다공증: 뼈의 강도가 약해져서 골절의 위험이 높은 상태로, T-값이 -2.5 이하인 경우 골다공증으로 진단함

□ 이에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은 골밀도 수준에 따른 골절 발생을 파악하고 골감소증 환자에서 골절 위험요인을 분석하여 선제적으로 치료받을 수 있도록 ‘골감소증 환자에서 골절 예방 치료의 필요성’ 연구를 수행하고 결과를 발표했다.

□ 국민건강보험공단 생애전환기 건강검진*을 받은 만 66세 여성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7년 이후 골감소증 환자는 계속 증가하였으며, 2019년 골감소증 환자는 66세 여성 절반을 차지하였다. 골밀도 수준에 따라 골절 발생률을 분석한 결과, 골밀도가 정상인 군에 비해 골감소증, 골다공증 환자군의 골절 발생률이 높았다.

   * 생애전환기 건강검진: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건강보험 가입자와 의료급여 수급권자 중 만 40세와 만 66세에 해당하는 자에게 제공하는 건강검진. 2018년에 일반 건강검진으로 통합


연도별 골밀도 수준에 따른 골감소증 환자 추이

 ○ 2008~2009년 생애전환기 건강검진 수검자 중 골감소증인 만 66세 여성 환자에서 골절위험인자를 확인하고 예측모형을 구축한 결과, 낙상, 당뇨병, 뇌혈관질환, 천식, 과거골절력이 유의한 골절 위험 인자로 포함되었다.

□ 골다공증성 골절 발생에 대한 국내외 문헌을 검토한 메타분석 결과, 골감소증 환자에서 골다공증 약제 치료군이 약제를 치료하지 않은 군에 비해 골절 발생 위험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며, 골밀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 따라서, 골밀도가 골다공증 수준으로 낮지 않더라도 골절 고위험군인 환자들을 선별하여 치료하는 것이 필요하다.

 ○ 대한골대사학회와 대한내분비학회 전문가 의견 조사 결과, 응답자 모두가 골감소증 환자에게 선택적으로 약제투여가 필요하다고 했으며, 실제 처방을 더 적극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보험급여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 연구책임자 서울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김정희 부교수는 “골밀도 정상군에 비해 골감소증 환자의 골절 위험도가 더 높은 것을 확인하였고, 정책적으로 골절위험이 높은 골감소증 환자에게 적극적인 치료가 고려되어야 한다”며,

 ○ “본 연구에서 개발된 골절예측모형은 골감소증 환자에서 골절 위험을 평가하는 유용한 지표로 사용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공동 연구책임자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윤지은 부연구위원은 “향후 골감소증 환자에게 골다공증 약제 투약 여부를 결정하는 임상진료지침에 중요한 근거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전,다음 게시물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전글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제10차 '제한적 의료기술' 신청 접수
다음글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전문가와 구강노쇠 진단 기준 마련한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