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기등재약 사후관리 정례화 등 평가체계 마련돼야"의 작성자, 작성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 언론보도 ] "기등재약 사후관리 정례화 등 평가체계 마련돼야"
작성자 정책협력홍보팀
작성일 2015.06.01 조회수 1959
언론사
링크 http://www.docdocdoc.co.kr/news/newsview.php?newscd=2015050700004

기등재 의약품에 대한 사후관리를 정례화하고 임상근거 정보 수집 등 평가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최근 '기등재 약제의 비용효과성 및 비용효과성에 근거한 사후관리방안 연구'를 주제로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수행한 연구 보고서를 공개했다.

 

기등재 의약품 목록정비 사업이란 건강보험에서 급여하고 있는 기등재 의약품에 대해 경제성평가를 실시해 임상적 유용성 및 비용효과성이 낮은 의약품의 약가를 인하하거나 보험적용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0년 7월 1만6,529개 의약품을 대상으로 목록정비사업이 추진됐으나 경제성평가를 통해 약가가 인하되기보다는 임상적 근거 부족 등 진행상의 어려움을 이유로 모든 의약품의 약가가 20% 일괄 인하됐다.

특히 임상적 유용성이 부족한 의약품은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를 통해 아예 급여에서 제외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에 비해 외국은 각 나라의 보건의료체계에 맞게 기존기술을 평가하는 과정 및 방법을 마련하고 있다.

이에 기존기술 평가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만큼 국내에서도 이같은 평가체계를 갖춰야한다는 게 연구진 판단이다.

 

실제로 프랑스는 보험급여약제 자체 등급(상환률)을 두고 5년 주기로 평가를 하고 있다.

 

네덜란드의 경우 고가약 목록관리 대상이 고가 및 희귀의약품이지만매일 임상근거를 수집해 4년단위로 평가하고 있다.

 

선별등재제도 도입과 함께 기등재 약제 전체를 대상으로 재평가를 하는 스웨덴은 약효군별 평가가 종료되면서 현재는 약제별로 선별적으로 수행한다.

 

특히 이러한 평가는 실제 임상에서의 근거 및 관련 정보를 토대로 추진되고 있으며, 이해관계자 참여와 의견수렴 등의 평가수행을 공식화하고 있다.

 

이를 감안해 볼때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고가 희귀의약품에 대한 재평가의 필요성이 높다고 연구진은 조언했다.

따라서 경제성평가 면제 등 제도적 변동이 있을 때 관련 근거 수집 의무 및 주기적 분석으로 재평가를 해야한다고 설명했다.

 

또 적응증 변화나 급여기준 확대는 등재 시 만큼 비용효과성 평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런 점에서 현재의 사용량약가연동제는 실제 임상의 행태를 모니터링하도록 보완하고, 이를 근거로 평가대상을 선정해 재평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구체적으로 연구진은 기등재약제의 경제성평가를 '비용-효과분석'과 '사후관리방안' 등으로 분류했다.

 

'비용-효과분석'을 위해서는 체계적 문헌고찰, 청구자료 분석, 임상자문, 모델링 등의 과정을 거치고, '사후관리방안'은 정책 및 제도관련 전문가로 연구진을 구성해 의견수렴과정을 공식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보험약제 사용 경향 및 행태분석, 재정영향 분석을 위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대상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거쳐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임상효과 자료 확보를 위한 투자와 노력이 필요하며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활용한 예비 분석 등을 거쳐 지속적인 평가가 논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전,다음 게시물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전글 자가치아 유래 골 이식술 ‘해외진출 길 열린다’
다음글 한국보건의료연구원, 加 보건의약기술평가원과 업무협약 체결

페이지
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