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보건의료연구원, 어지럼증 극복 위한 전정재활치료 효과 분석의 작성자, 작성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 보도자료 ] 보건의료연구원, 어지럼증 극복 위한 전정재활치료 효과 분석
작성자 정책협력홍보팀
작성일 2016.04.26 조회수 3947
언론사
링크
파일

 

보건의료연구원, 어지럼증 극복 위한 전정재활치료 효과 분석

 

현행 전정신경염 환자의 약물사용, 권장기간보다 최대 43.8배 길어

효과적 치료 위해 단기 약물사용과 지속 전정재활운동 병행해야

 

 

□ 한국보건의료연구원(원장 임태환, 이하 NECA)은 2015년 수행한「전정신경염에서 전정억제제와 전정재활치료의 단기임상효과 비교분석을 위한 국내 다기관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 전정신경염은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는 전정기관의 이상으로 심한 어지럼, 구역, 구토를 유발하는 질병으로, 관련 전문가들은 전정신경염의 근본적 치료방법으로 ‘전정재활운동’을 권고하고 있다.

 

  ○ 전정재활운동은 전정기관의 이상에 대해 소뇌에서 다시 몸의 균형을 잡도록 조절하는 ‘전정보상’ 작용을 강화하는 재활운동으로, 어지럼증이 생기는 동작 및 환경에 노출시켜 전정보상 기능을 회복하는 원리다. 예컨대 고소공포증이 있는 환자에게 낮은 계단부터 높은 계단까지 반복적으로 오르게 하는 원리와 유사하다.


□ 어지럼 증상 완화만을 목적으로 치료할 경우 수면제 성분의 전정억제제 남용이 우려됨에 따라 정확한 진단 및 근본적인 치료가 요구되는데,


  ○ 실제 임상현장에서는 전정재활운동보다 대증치료*에 해당하는 약물처방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약물사용도 권장기간보다 최대 43.8배 긴 것으로 나타났다(2013년 기준).

       * 병의 원인에 대한 직접적 치료가 아닌 증세를 완화하는 치료

 

□ 이에 NECA에서는 전정신경염의 진료 표준화 및 불필요한 의료비 절감에 기여하고, 동시에 전정신경염 환자들이 쉽게 보고 따라할 수 있는 전정재활운동 가이드 영상과 정보집을 제공하여 증상에 대한 근본적 치료를 돕고자 이번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 전정신경염 진료현황 

 

  ○ (연구방법)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건강보험청구자료를 활용하여 전정신경염의 진료 및 약제사용 현황을 분석하였다.

 

  ○ (진료현황) ‘09~’13년까지 전정신경염 진료건수는 연평균 약 126,000건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09년 115,514건 → ’13년 130,130건). 여성환자 비율이 남성에 비해 높았으며, 연령대는 40대~70대 환자가 전체의 76%를 차지했다.

 

    - 동기간 전정신경염 환자 1인의 연평균 진료비는 약 14만원으로 나타났다.

 

  ○ (약제사용 현황) 전정신경염 환자들의 어지럼증 완화를 위한 약제로는 진정제, 전정억제제, 최토제/진토제, 항히스타민제 등이 다양하게 처방되고 있었다.

 

    - 전정신경염 환자의 약제 평균처방일수는 37일에서 최대 231일로, 전문가 권고량(급성기 3~5일 처방) 대비 신경안정제 ‘벤조다이아제핀’이 14.3배, 수면효과가 있는 ‘항히스타민’이 43.8배 긴 기간 동안 투약이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오남용 경향은 매년 전국적으로 증가하고 있었다.

 

    - 특히 벤조다이아제핀계 약물은 향정신성 의약품으로 불안증·불면증 치료제로 주로 처방되나, 장기간 과다복용할 경우 인지기능 장애 및 자살, 골절 등의 위험을 높일 수 있으며, 전정기능의 회복을 담당하는 전정보상작용을 방해하여 완전한 회복을 불가능하게 하고, 만성 어지럼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 전정재활운동의 치료효과

 

  1) 체계적 문헌고찰 결과

 

  ○ (연구방법) 전정재활치료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기존 연구결과를 종합해 살펴보는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했다. 

 

  ○ (치료효과) 전정신경염 환자 중 전정재활운동 시행군과 미시행군, 운동 시행군과 약제 복용군을 각각 비교한 결과, 

 

    - 재활운동 시행군은 미시행군보다 치료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운동 시행군과 치료약제(스테로이드제) 복용군은 증상의 회복정도가 유사하게 나타났다. 

 

  2) 전향적 임상연구 결과

 

  ○ (연구방법) 전정억제약물 치료와 전정재활운동의 어지럼증상 개선효과를 비교·분석하기 위해 연구에 동의한 전정신경염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연구를 진행하였다. 

 

    - 실험은 9개 종합병원에서 실시되었으며, 총 34명의 전정신경염 환자가 실험에 참여하였다. 무작위 배정에 의해 전정재활운동 시행군과 약제 복용군이 각 17명씩 배정되었다.

 

   -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여, 전정재활운동군은 1일 5회, 8주간 실시했으며, 약물군은 항히스타민제(dimenhydrinate)를 하루 3회씩 3일 복용하도록 했다. 증상완화 효과는 내원 2주, 4주, 8주에 증상검사 및 설문지 등을 통해 측정했다.
        * 국내 전문가 130인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조사 실시


  ○ (치료효과) 운동군과 약물군의 치료효과*를 비교한 결과, 

 

    - 급성기 3일간 전정억제제를 투여한 군에서 발병 2주차에 환자 스스로 판단한 어지럼증 정도가 정상으로 회복되었고, 발병 8주까지 상태가 지속되었다. 

 

    - 전정재활운동군과 약물군을 총 8주간 추적 관찰한 결과, 두 군의 회복 정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다만 8주까지 추적관찰 한 온도안진검사에서 전정재활운동이 전정기능의 회복을 빠르게 유도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 종합적으로 전정신경염 초기에 해당하는 발병 3일 이내에 전정억제제를 국한하여 사용하고, 이후 전정재활운동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치료방법일 것으로 분석되었다.

 


 

 

□ 연구책임자 김주연 부연구위원은 “전정신경염은 초기 단기간(3-5일)의 약물 사용과 이후의 지속적인 전정재활운동을 통한 치료가 가장 합리적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라고 강조하며, 

 

 

“약물 오남용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전정신경염의 근본적 치료를 위한 전정재활운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환자 상담 및 교육, 재활운동 지도에 따른 적절한 수가가 책정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 한편, 「전정재활운동 정보집」과 가이드 동영상은 NECA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아래 QR 코드를 통해 모바일 재생도 가능하다.

 

1   ☜ 전정재활운동 동영상 보기

 

 

 

※ 별도붙임. 「전정재활운동 정보집」1부. 끝. 

 

2

 

이전,다음 게시물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전글 보건의료연구원, 국민건강임상연구 제1차 일반세부과제 선정
다음글 보건의료연구원, 항생제 내성균에 의한 감염증의 대안치료법 효과 분석

페이지
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평가